Document

원자력

원자력발전은 핵분열 반응으로 발생하는 열을 사용해 물을 증기로 만들고, 그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드는 방법이다. 핵분열은 크고 무거운 원자핵이 외부의 강한 힘으로 쪼개지는 현상을 말한다. 원자력은 자연계에서 가장 무거운 원소인 우라늄을 이용한다. 우라늄 원자핵에 빠르게 움직이는 중성자를 충돌시키면 바륨, 크립톤, 스트론튬, 제논과 같은 더 가벼운 원소로 쪼개지면서 에너지와 중성자를 함께 방출한다. 이 중성자는 다른 우라늄 원자핵과 반응하여 다시 에너지와 중성자를 생성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어 일어나므로 핵분열 에너지를 긴 시간에 걸쳐 꾸준하게 얻을 수 있다. 이 에너지로 물을 끓여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얻는 것이 바로 원자력발전이다.

원자력 (2021년 기준)   (출처 : 한국전력)

발전비중 : 27.4%
발전량 : 158,015GWh

원자력발전은 우라늄-235가 2~5%만 농축되어 있는 저농축우라늄을 핵연료로 사용하여 18개월 내외의 발전주기 동안 핵분열이 지속적으로 서서히 일어나도록 한다. 또한 붕소로 이루어진 제어봉으로 핵분열 연쇄반응을 멈추게 할 수도 있다. 발전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산업 전체로 보더라도 화석연료 발전에 비해 탄소배출량이 적다.

원자력발전은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방사선과 방사성 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안전성이다. 우리나라 원전은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섯 겹의 5중 방호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불의의 고장이나 사고로부터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다중성·다양성·독립성 3가지의 설계 원칙을 따르며, 지진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에도 대비 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에대한설명
원자력발전에대한설명

원자력발전에 있어 선결과제로 꼽히는 것은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이다. 말 그대로 핵연료물질을 발전용 또는 다른 방법으로 핵분열시킨 후 배출되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뜻한다. 겉으로 보기엔 일반 핵연료물질과 차이가 없지만, 이미 핵분열 반응을 했기에 고열을 방출하고 그 방사선의 반감기가 길어 세심한 관리 보관이 필요하다. 핵연료를 다 쓰고 나면 열이 식을 때까지 수조에 임시 보관 후 방사능이 어느 정도 낮아지도록 원전 내에 중간 저장하고 있으나 포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최종 단계인 영구처분을 위한 기술 개발과 관리계획에 대해서는 심도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세계 전기의 역사, 얼마나 오래 되었을까?

세계 전기의 역사, 얼마나 오래 되었을까?

BC 600   고대 그리스철학자 탈레스가 마찰전기(정전기]를 발견    1600   영국의 길버트,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자석임을 확인    1729  영국의 그레이, 전기가 선을 타고 움직일 수 있다는 실험을 통해 도체와 부도체를 발견    1800  볼타전지발명    1831  패러데이  최초의 모터 발명    1837  모스 전신기 발명    1839  프랑스, 빛에너지를 이용해 전류를 만들 수 있는 광전효과 발견

840  암스트롱, 수력발전기 발명    1876   미국의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최초의 전화기 발명    1879  미국의 에디슨,백열전구 발명    1887  에디슨, 축음기 발명 (촬영기, 영상기는 1891년 발명)   우리나라 최초 전등 점화 경북궁 내 건청궁(1887년 3월 6일)    1881  에디슨, 최초의 상업발전소 건립 (뉴욕 중앙발전소품)    1888  미국, 세계 최초의 풍력발전기 개발    1895  렌트겐 X선 발견    1887  독일의 칼 브라운,브라운관 발명

1898   한성전기회사 설립 고종,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회사 설립    1900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점등일 (1900년 4월 10일)    1920  라디오 방송시대 개막    1926  영국,존 로지 베어드, 텔레비전 발명    1936  영국, 최초로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    1940  텔레비전, 영국의 온 가정에서 대중화     1942  미국의 페르미, 세계 최초의 원자로 완성    1944  대한민국 대규모 수력발전 시작(60만kW급 동양 최대의 수품수력발전소 완공)

1954  미국,컬러 텔레비전 방송 시작  소련,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가동    1965  농어촌, 산촌, 섬마을 등 벽지에 전기를 공급해주는 농어촌 전화사업 시작      1995  대한민국,해외전력사업 본격진출   (95년 필리핀 화력발전소, 96년 일리한 발전소 건설 등)      인류의 발전과 함께한 전기,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전기절약에 참여하세요!

[ 세계 전기의 역사, 얼마나 오래 되었을까? ]

 

BC 600 

고대 그리스철학자 탈레스가 마찰전기(정전기]를 발견

 

1600 

영국의 길버트,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자석임을 확인

 

1729

영국의 그레이, 전기가 선을 타고 움직일 수 있다는 실험을 통해 도체와 부도체를 발견

 

1800

볼타전지발명

 

1831

패러데이

최초의 모터 발명

 

1837

모스 전신기 발명

 

1839

프랑스, 빛에너지를 이용해 전류를 만들 수 있는 광전효과 발견

 

1840

암스트롱, 수력발전기 발명

 

1876 

미국의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최초의 전화기 발명

 

1879

미국의 에디슨,백열전구 발명

 

1887

에디슨, 축음기 발명 (촬영기, 영상기는 1891년 발명) 

우리나라 최초 전등 점화 경북궁 내 건청궁(1887년 3월 6일)

 

1881

에디슨, 최초의 상업발전소 건립 (뉴욕 중앙발전소품)

 

1888

미국, 세계 최초의 풍력발전기 개발

 

1895

렌트겐 X선 발견

 

1887

독일의 칼 브라운,브라운관 발명

 

1898 

한성전기회사 설립 고종,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회사 설립

 

1900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점등일 (1900년 4월 10일)

 

1920

라디오 방송시대 개막

 

1926

영국,존 로지 베어드, 텔레비전 발명

 

1936

영국, 최초로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

 

1940

텔레비전, 영국의 온 가정에서 대중화 

 

1942

미국의 페르미, 세계 최초의 원자로 완성

 

1944

대한민국 대규모 수력발전 시작(60만kW급 동양 최대의 수품수력발전소 완공)

 

1954

미국,컬러 텔레비전 방송 시작

소련,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가동

 

1965

농어촌, 산촌, 섬마을 등 벽지에 전기를 공급해주는 농어촌 전화사업 시작

 

 

1995

대한민국,해외전력사업 본격진출 

(95년 필리핀 화력발전소, 96년 일리한 발전소 건설 등)

 

 

인류의 발전과 함께한 전기,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전기절약에 참여하세요! 

출처 한국동서발전

  • 블로그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트위터
Document

정책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20년대 중반 이후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고리1호기 해체를 기술역량 축적 및 산업 생태계 창출의 기회로 삼고 글로벌 시장진출을 도모하고자 2019년 4월 17일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전략으로 건설-운영 등 기존 선행 주기에 해체-폐기물 관리 등 후행 주기 분야까지 더해 원전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원전기업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통한 지역의 경제활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계 원전해체시장 현황

  • IAEA국제원자력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450대의 원전이 가동 중이고 이중 30년 이상 가동 중인 원전은 300대가 넘습니다.
    사실상 세계 원전 시설이 노후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세계 각국은 투자회수율이 낮아진 원전을 대상으로 원전해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영구 정지된 원전 173대 중 안전하게 해체가 완료된 원전은 20기입니다.
    원자력 선진국으로 손꼽히는 미국, 독일, 일본이 각각 16기, 3기, 1기의 원전을 해체한 경험이 있습니다.

주요국가 원전해체 진행 현황

(IAEA-PRIS 2019년 3월 기준, 단위 : 개)

  • 미국해체계획:6 ,해체진행중:13,해체완료:15,총:35,우크라이나 해체진행중:4 총:4

  • 영국해체계획:4 ,해체진행중:13,총:30,슬로바키아 해체계획:3 총:3

  • 독일해체계획:9 ,해체진행중:16,해체완료:3,총:28,스페인 해체계획:1 , 해체진행중:2 총:3

  • 일본해체계획:13 ,해체진행중:4,해체완료:1,총:18,리투아니아 해체진행중:2 총:2

  • 프랑스해체계획:2 ,해체진행중:10 , 총:12,아르메니아 해체진행중:1 총:1

  • 캐나다해체계획:3 ,해체진행중:3, 총:6,벨기에 해체진행중:1 총:1

  • 러시아해체계획:2 ,해체진행중:4 ,총:6,카자흐스탄 해체계획:1 총:1

  • 스웨덴해체계획:2 ,총:3, 총:5 , 한국 해체진행중:1 총:1

  • 불가리아해체계획:4 , 총:4, 네덜란드해체계획:1 총:1

  • 이탈리아해체계획:4 ,총:4,스위스해체계획:1 총:1

  • 미국 : 총35
  • 영국 : 총30
  • 독일 : 총28
  • 일본 : 총18
  • 프랑스 : 총12
  • 캐나다 : 총6
  • 러시아 : 총6
  • 스웨덴 : 총5
  • 불가리아 : 총4
  • 이탈리아 : 총4
  • 우크라이나 : 총4
  • 슬로바키아 : 총3
  • 스페인 : 총3
  • 리투아니아 : 총2
  • 아르메니아 : 총1
  • 벨기에 : 총1
  • 카자흐스탄 : 총1
  • 한국 : 총1
  • 네델란드 : 총1
  • 스위스 : 총1
  • 해체계획
  • 해체진행중
  • 해체완료

주요 내용

원전해체를 원전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로 육성함에 따라, 2035년까지 세계 원전해체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하고 세계 5위권 이내로 진입하는 것을 비전과 목표로 4대 과제를 담고 있습니다.

  • 초기시장 창출 및 인프라 구축
    • - 본격 원전해체 시작 전인 ’22년까지 해체물량 조기발주, 상용화 R&D 등 민.관 합동으로 대규모 선제 투자 추진
    • - 원전해체 사업 세분화(폐기물 처리시설 구축, 해체 공사용 장비 구매, 해체 계획서작성 등) 시행 가능한 것부터 조기발주 착수
    • -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하고 등 관계부처 및 관련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기술 고도화 및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
  • 원전해체 전문 강소기업 육성
    • - 원전기업이 해체분야로 사업을 전환하여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생태계기반, 인력, 금융 등 종합지원 추진
    • - 지역과 협력하여 인근 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기업집적 및 생태계 활성화를 추진
    • - 기존의 원전인력을 해체 수요에 맞게 단계적 전환을 유도하는 등 전문인력 양성
  • 단계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 - 해체실적(Track-record)이 중요시되는 해체시장 특성상, 고리 1호기 실적을 토대로 3단계에 걸쳐 해외진출 추진
      • ①해외 해체원전 단위사업 수주(’20년대 중반) ②원전 운영 경험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3국에 선진국과 공동진출(‘20년대 후반) ③제3국 단독진출(’30년대 이후) 3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
  • 제도기반 구축 및 대국민 정보공개 확대
    • - 안전한 해체관리를 위해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폐기물 등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및 관련 정보공개 확대로 대국민 이해도와 신뢰도 제고
    • - 전문기업 확인제도 운영 등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적 근거를 신설하고, 안전기준 명확화
    • - 해체 세부기준 조기 마련 추진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