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

수소

수소는 우주를 구성하는 원소 중 90%를 차지할 만큼 무궁무진한 자원이다. 지구 면적의 2/3를 덮고 있는 물 역시 수소원자를 포함하고 있어 부산물 없이 깨끗하게 쓸 수 있는 지속가능한 에너지인 셈이다.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며, 이 과정에서 오직 물만 배출하기 때문에 환경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수소는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을 고려해도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 발생량이 훨씬 적다.

수소 (2021년 기준)  

수소승용차 누적보급량 : 19,404대 (출처 : 국토교통부, Marklines)
연료전지 발전설비 : 767,5MW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수소충전소 : 170기 설치 (출처 : 환경부)

수소를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연료전지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장치다. 발전효율이 높으며 대형·가정·건물용 발전, 수송용, 휴대용 등 활용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미활용 에너지나 재생에너지 등 값싼 자원으로부터 수소를 만들어 대체 에너지로 이용하면 에너지 비용을 낮추면서 에너지 조달처를 다변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현재 전 세계 수소에너지의 50% 이상은 천연가스를 고온·고압에서 분해해서 얻는 ‘그레이 수소’이며, ‘블루수소’는 이러한 그레이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여 탄소 배출을 줄인 수소를 말한다. 반면 ‘그린수소’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로 물을 분해하여 생산하는 방식으로 탄소배출이 없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미래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수소발전에대한설명

해외의 신·재생에너지가 궁금해 - 요르단 편

E 한국에너지공단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요르단 편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요르단 편 요르단의 신.재생에너지 전체 에너지원의 약 90% 이상을 대외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빛 태양 에너지 발전에 다양한 노력을 추진 중 오는 2023년까지 전체 전력 생산 에너지원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30%까지 끌어올릴 전망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요르단 편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적합한 자연환경! 태양 에너지 평균 일사량 5~7KWH/m2 연 평균 300일 이상의 일조량 연간 1000GWh 이상의 태양 에너지 흡수 풍력 에너지 초속 9m/s의 강한 바람이 부는 지역 활발한 풍력 발전 적합한 자연환경을 통해 요르단 전력망의 20% 이상이 태양열 또는 풍력 에너지로 구동 중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요르단 편 에너지 저장 장치 프로젝트!(ESS, Energy Storage System) 잉여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 기술에 대한 수요 급증 추세! 날씨에 따라 전력의 간헐적 생산, 과잉 생산량 발생 ESS 해당 에너지원을 저장해 전기 네트워크에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 *에너지 저장 장치란?(ESS, Energy Storage System) 태양광, 풍력 등으로 생산한 에너지를 저장 후, 필요한 시간대에 사용 할 수 있는 시스템 요르단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전망은 이렇군!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요르단 편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요르단의 행보를 함께 기대해 보아요! 다음에 또 만나요~


 E 한국에너지공단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요르단 편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요르단 편 요르단의 신.재생에너지 전체 에너지원의 약 90% 이상을 대외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빛 태양 에너지 발전에 다양한 노력을 추진 중 오는 2023년까지 전체 전력 생산 에너지원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30%까지 끌어올릴 전망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요르단 편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적합한 자연환경! 태양 에너지 평균 일사량 5~7KWH/m2 연 평균 300일 이상의 일조량 연간 1000GWh 이상의 태양 에너지 흡수 풍력 에너지 초속 9m/s의 강한 바람이 부는 지역 활발한 풍력 발전 적합한 자연환경을 통해 요르단 전력망의 20% 이상이 태양열 또는 풍력 에너지로 구동 중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요르단 편 에너지 저장 장치 프로젝트!(ESS, Energy Storage System) 잉여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 기술에 대한 수요 급증 추세! 날씨에 따라 전력의 간헐적 생산, 과잉 생산량 발생 ESS 해당 에너지원을 저장해 전기 네트워크에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 *에너지 저장 장치란?(ESS, Energy Storage System) 태양광, 풍력 등으로 생산한 에너지를 저장 후, 필요한 시간대에 사용 할 수 있는 시스템 요르단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전망은 이렇군!


해외의 신.재생에너지 요르단 편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요르단의 행보를 함께 기대해 보아요! 다음에 또 만나요~


출처 한국에너지공단

  • 블로그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트위터
Document

정책

제1차 수소경제이행기본계획

정부는 「수소선도국가 비전」의 실현을 위해, “청정 수소경제 선도국가(First Mover)”로의 도약을 목표로,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의의 및 비전

  • 금번 계획은 올해 2월 수소법 시행 이후 첫 법정 기본계획으로써, 「수소선도국가 비전」에서 제시한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 주도, △빈틈없는 인프라 구축, △모든 일상에서 수소활용, △생태계 기반 강화 등 4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15개 과제*를 추진합니다.

    * △그린‧블루수소 생산‧도입, △수소 유통인프라 확충, △수소발전‧모빌리티‧수소산업공정 확산, △수소 클러스터·도시·규제특구 육성, △수소안전‧기술개발‧국제협력 등

  • 특히, 2050년 연간 2,790만톤의 수소를 100% 청정수소(그린‧블루수소)로 공급하고, 국내 생산은 물론 우리 기술·자본으로 생산한 해외 청정수소 도입으로 청정수소 자급률도 60% 이상 확대할 계획입니다.

    * 청정수소 비중 / 자급률 목표 : (’20년) 0% / 0% → (‘30년) 75% / 34% → (’50년) 100% / 60%

주요 추진과제

  1. 1 국내·외 수소 생산을 ”청정수소 공급체계“로 전환합니다.
    •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수전해 실증을 통해 그린수소의 대규모 생산기반을 구축하고, 생산단가를 감축하겠습니다.

      * 그린수소 생산확대 / 단가 : (‘30년) 25만톤 / 3,500원/kg → (’50년) 300만톤 / 2,500원/kg

    • 동해가스전 실증 등 탄소포집저장기술(CCS) 상용화 일정에 맞추어 탄소저장소를 ‘30년까지 9억톤 이상 확보하여, 이산화탄소 없는 청정 블루수소를 ’30년 75만톤, ‘50년까지 200만톤 생산하겠습니다.

      * ’25년 국내 블루수소 최초 생산(25만톤급, 보령)

    • 아울러, 국내 자본·기술을 활용한 해외 재생에너지-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50년 40개의 수소공급망을 확보하겠습니다.

      * 블루 암모니아 해외 생산 개시(’25), 블루 암모니아 해외 도입 개시(‘27)

    • 특히, 안정적인 수소 수급을 위해 비축기지 건설(’30) 및 국제거래소를 설립하고, 수소 생산국들과 협의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청정수소 인증제 및 원산지 검증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2. 2 청정수소를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마련하겠습니다.
    • 석탄·LNG발전소, 산단 인근에 수소항만을 구축하고, 항만시설 사용료‧임대료 감면 등 인센티브 부여를 통해 항만 내 선박·차량·장비 등을 수소 기반으로 전환해갈 계획입니다.
    • 또한, 수소생산·도입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수소 배관망을 구축하고, 기존 천연가스망을 활용한 수소혼입도 검토(‘22~)하겠습니다.
    • 주유소·LPG 충전소에 수소충전기를 설치하는 융복합 충전소 확대 등을 통해 수소충전소를 ‘50년까지 2,000기 이상 확보할 계획입니다.

      * 수소충전기 보급목표(기): (’22) 310 → (‘25) 450 → (’30) 660 → (‘40) 1,200 → (’50) 2,000 이상

  3. 3 발전‧모빌리티‧산업 등 모든 일상에서 수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수소연료전지에 더하여 석탄에 암모니아 혼소발전(‘27~), LNG 수소 혼소 등 수소발전을 상용화하고, 청정수소 발전의무화 제도(CHPS) 도입, 환경급전 강화 등으로 이를 뒷받침 하겠습니다.

      * 수소발전량 : (‘20) 3.5TWh → (’30) 48.2TWh → (‘50) 287.9TWh ('20년 대비 82배↑)

    • 수소차 생산능력의 대폭 확충(’50년 526만대)과 함께 ‘30년까지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성능을 제고하고 선박‧드론‧트램 등 다양한 모빌리티로 수소 적용을 확대하겠습니다.

  4. 4 수소산업 육성 저변 강화를 위한 제도 기반을 마련하겠습니다.
    • 수소 관련 기술개발의 시너지 효과 제고를 위해 각 부처별로 개발 기술 규모를 상향, 범부처 통합실증을 실시하겠습니다.
    • 아울러, 선제적 안전기준 수립, 국제표준 선점 지원 등을 통해 수소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수소 연합회‘를 출범하여 수소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내·외 기업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