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

원자력

원자력발전은 핵분열 반응으로 발생하는 열을 사용해 물을 증기로 만들고, 그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드는 방법이다. 핵분열은 크고 무거운 원자핵이 외부의 강한 힘으로 쪼개지는 현상을 말한다. 원자력은 자연계에서 가장 무거운 원소인 우라늄을 이용한다. 우라늄 원자핵에 빠르게 움직이는 중성자를 충돌시키면 바륨, 크립톤, 스트론튬, 제논과 같은 더 가벼운 원소로 쪼개지면서 에너지와 중성자를 함께 방출한다. 이 중성자는 다른 우라늄 원자핵과 반응하여 다시 에너지와 중성자를 생성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어 일어나므로 핵분열 에너지를 긴 시간에 걸쳐 꾸준하게 얻을 수 있다. 이 에너지로 물을 끓여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얻는 것이 바로 원자력발전이다.

원자력 (2021년 기준)   (출처 : 한국전력)

발전비중 : 27.4%
발전량 : 158,015GWh

원자력발전은 우라늄-235가 2~5%만 농축되어 있는 저농축우라늄을 핵연료로 사용하여 18개월 내외의 발전주기 동안 핵분열이 지속적으로 서서히 일어나도록 한다. 또한 붕소로 이루어진 제어봉으로 핵분열 연쇄반응을 멈추게 할 수도 있다. 발전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산업 전체로 보더라도 화석연료 발전에 비해 탄소배출량이 적다.

원자력발전은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방사선과 방사성 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안전성이다. 우리나라 원전은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섯 겹의 5중 방호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불의의 고장이나 사고로부터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다중성·다양성·독립성 3가지의 설계 원칙을 따르며, 지진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에도 대비 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에대한설명
원자력발전에대한설명

원자력발전에 있어 선결과제로 꼽히는 것은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이다. 말 그대로 핵연료물질을 발전용 또는 다른 방법으로 핵분열시킨 후 배출되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뜻한다. 겉으로 보기엔 일반 핵연료물질과 차이가 없지만, 이미 핵분열 반응을 했기에 고열을 방출하고 그 방사선의 반감기가 길어 세심한 관리 보관이 필요하다. 핵연료를 다 쓰고 나면 열이 식을 때까지 수조에 임시 보관 후 방사능이 어느 정도 낮아지도록 원전 내에 중간 저장하고 있으나 포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최종 단계인 영구처분을 위한 기술 개발과 관리계획에 대해서는 심도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원자력발전의 원리는? 원자의 개념 이해하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K_cm0817864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598pixel, 세로 3744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1년 07월 10일 오후 0:35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 5D Mark 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 Windows F-스톱 : 16.0 노출 시간 : 25/10초 IOS 감도 : 50 노출 모드 : 수동 프로그램 노


여러분은 원자력발전이 어떤 원리로 에너지를 생산하는지 아시나요? 간단히 말하자면, 원자 내 핵분열(fission) 시 발생하는 열로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고 그 증기로 터빈*을 가동해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것이 바로 원자력발전인데요. 오늘은 이 정도의 상식적 지식에서 한 발 더 깊이 들어가 원자력발전의 원리에 대해 한번 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터빈(turbine) : 높은 압력의 유체(기체와 액체)를 날개바퀴의 날개에 부딪치게 함으로써 회전하는 힘을 얻는 원동기. 사용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수력 터빈, 증기 터빈, 가스 터빈이 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K_td0222000160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00pixel, 세로 40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8월 02일 오후 5:28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22.4 (Windows)


그러려면 먼저 원자가 무엇인지 알아야겠는데요. 원자의 개념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가벼운 명칭 논쟁 먼저 소개하며 시작해볼까 해요. 혹자는 원자력발전소라는 명칭이 잘못된 것이라 말하기도 하는데요. 왜냐. 물리학적으로 말하자면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는 원자력이 아니라 ‘(원자)핵력이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원자력발전소가 아닌 핵발전소가 맞다는 겁니다. 원자력발전소를 영어로 대개 Nuclear Power Plant라고 쓰는데 Nuclear가 원자(atom)가 아닌 원자핵을 말하거든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K_cm08102364.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34pixel, 세로 2959pixel


이제 본론입니다. , 다들 심호흡 한번 하시고, 눈을 크게 뜹니다. 우리를 둘러싼 수많은 물질은 각기 다른 원소 그리고 원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죠. 그 수많은 물질(원소)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가 바로 원자입니다. 원소와 원자의 차이가 뭐냐고요? 원소는 추상적인 개념이에요. 수소, 산소, 탄소, , 리튬 같은 거 말이에요. ·고등학교 화학시간에 다들 원소기호표 암기하던 기억, 벌써 잊은 건 아니겠죠? 반면 원자는 셀 수 있습니다. 입자이므로 계량이 가능하죠. 분자도 원자와 같은 과입니다. 여러 원자의 화학적 결합으로 이루어져,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가지는 가장 작은 입자가 바로 분자거든요.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나뉩니다. 그리고 원자핵은 또 양성자와 중성자로 나뉘어요. 이중 전기적 성질을 띠지 않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오늘의 주인공 중성자입니다. 양성자는 +(양전하), 전자는 -(음전하)를 띠고요. 한 원자를 구성하는 양성자의 양전하량과 전자의 음전하량은 같습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K_pc004089897.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0pixel, 세로 3750pixel


▲ 원소를 구분하기 쉽게 성질에 따라 배열한 주기율표

원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 또는 원자를 구분짓는 항목으로는 원자번호와 원자량 등이 있는데요. 먼저 원자번호(atomic number)는 양성자의 개수로부터 도출됩니다. 예를 들어 원자번호 1번인 수소는 양성자가 1개고, 가장 큰 원자번호인 92번 우라늄은 92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죠. (93번 이후 원소는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원소이므로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원소 중 가장 큰 원자번호를 가진 원소는 우라늄입니다.)

 

그리고 양성자와 중성자수를 더하면 원소의 질량이 되는데요.(양성자와 중성자에 비해 전자의 질량은 아주 미미합니다.) 이를 원자량또는 질량수(mass number)’로 부른답니다. 혹시 특정원소 뒤에 하이픈과 숫자가 붙은 것을 본 적 있으신가요? 예를 들어 우라늄-235(U-235), 우라늄-238(U-238) 같이요. 여기에 붙은 숫자가 바로 원자량(질량수)입니다. 그러니까 우라늄-23592개의 양성자와 143(235-92)개의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고, 우라늄-23892개의 양성자와 146(238-92)개의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는 거죠. 이렇게 양성자 수는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원소를 동위원소라 부릅니다. 동위원소 중 방사능*을 갖는 원소를 특히 방사선동위원소라고 칭하고요.

 

*방사능 : 라듐, 우라늄, 토륨 따위 원소의 원자핵이 붕괴하면서 방사선을 방출하는 일. 또는 그런 성질.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천연 방사능,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인공 방사능이라고 한다.

 

여러 과학자들이 원자를 연구하고 발견한 끝에 오늘날의 원자 모형으로 귀결됐는데요. 과학자들이 원자를 어떻게 상상하고 실험했는지 궁금하다면 관련 콘텐츠도 함께 살펴보시죠!

 

[ 원자 발견의 역사 ]

https://blog.naver.com/energyinfoplaza/22310559561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K_yaytg31405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16pixel, 세로 3744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2년 10월 31일 오후 3:19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 5D Mark 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6 (Windows) F-스톱 : 20.0 노출 시간 : 1/100초 IOS 감도 : 100 색 대표 : sRGB 노


기본 개념을 철저히 익혔으니 이제 속도를 조금 내보겠습니다. 서두에서 원자력발전은 핵분열 시 발생하는 열로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것이라 했는데요. 핵분열을 하면 왜 열이 발생하는 걸까요?

 

우라늄과 플루토늄 같은 무거운 원소의 원자핵은 간신히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외부 중성자에 의해 소량의 에너지가 추가되면 그 즉시 거의 동일한 두 조각으로 쪼개지며 다량의 열에너지(180MeV의 즉시 사용 가능한 에너지)와 수 개의 새로운 중성자를 방출하게 됩니다. (U-235의 경우 평균적으로 2.52개를 방출합니다.) 만약 각 핵분열에서 평균적으로 하나의 중성자가 생성되고, 그 중성자가 성공적으로 핵분열을 일으킨다면 핵분열은 스스로 지속되게 되겠죠. 이를 핵연쇄반응(Nuclear Chain Reaction)이라고 부릅니다.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에서 핵분열이 일어날 때 핵연료는 대개 U-235U-238를 말하는데요. U-235U-238의 동위원소이지만 U-238이 안정된 상태인 반면 U-235는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의 물질입니다. 이러한 불안정성 때문에 원자핵 내부로 들어온 중성자(이 과정을 원자핵이 중성자를 포획한다고도 표현합니다) 하나로 인해 균형이 깨지면서 U-235가 핵분열을 일으키게 되는 것입니다.

 

*원자로 : 원자핵 분열 연쇄 반응의 진행 속도를 인위적으로 제어하여 원자력을 서서히 끌어내는 장치. 우라늄, 플루토늄 따위의 핵분열 물질을 연료로 하고 중성자를 연료의 촉매로 하는 장치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ommon.jf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8pixel, 세로 1280pixel

원자폭탄 개발을 다룬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 오펜하이머’(출처:네이버 영화)

 

 

원자폭탄의 경우는 핵분열을 일으키는 연료의 95% 이상이 U-235입니다. 1회 핵분열에서 발생하는 2~3개의 중성자가 연이어 U-235와 만나 한순간에 엄청난 핵분열이 일어나게 되죠. 반면 원전 연료는 U-2355% 정도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핵분열을 일으키지 않는 U-238입니다. 원전은 U-235가 핵분열을 일으키도록 하되, 핵분열 시 새로 만들어진 중성자를 제어해 급속한 연쇄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이것이 바로 원전 가동의 핵심 원리이자 원전의 안전을 담보하는 원리이기도 한 것입니다. 중성자 플럭스(flux:유동)란 중성자의 숫자와 밀도, 운동량과 속도 등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입니다. 중성자 플럭스를 제어하는 원전의 장치는 당연히 하나가 아니며, 여러 가지가 동시다발적으로 아주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그 제어 장치 중 하나인 제어봉의 원리와 역할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참고자료>


대한민국정책브리핑 - 핵분열이란?

원자력위키

https://atomic.snu.ac.kr



출처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블로그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트위터
Document

정책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20년대 중반 이후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고리1호기 해체를 기술역량 축적 및 산업 생태계 창출의 기회로 삼고 글로벌 시장진출을 도모하고자 2019년 4월 17일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전략으로 건설-운영 등 기존 선행 주기에 해체-폐기물 관리 등 후행 주기 분야까지 더해 원전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원전기업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통한 지역의 경제활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계 원전해체시장 현황

  • IAEA국제원자력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450대의 원전이 가동 중이고 이중 30년 이상 가동 중인 원전은 300대가 넘습니다.
    사실상 세계 원전 시설이 노후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세계 각국은 투자회수율이 낮아진 원전을 대상으로 원전해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영구 정지된 원전 173대 중 안전하게 해체가 완료된 원전은 20기입니다.
    원자력 선진국으로 손꼽히는 미국, 독일, 일본이 각각 16기, 3기, 1기의 원전을 해체한 경험이 있습니다.

주요국가 원전해체 진행 현황

(IAEA-PRIS 2019년 3월 기준, 단위 : 개)

  • 미국해체계획:6 ,해체진행중:13,해체완료:15,총:35,우크라이나 해체진행중:4 총:4

  • 영국해체계획:4 ,해체진행중:13,총:30,슬로바키아 해체계획:3 총:3

  • 독일해체계획:9 ,해체진행중:16,해체완료:3,총:28,스페인 해체계획:1 , 해체진행중:2 총:3

  • 일본해체계획:13 ,해체진행중:4,해체완료:1,총:18,리투아니아 해체진행중:2 총:2

  • 프랑스해체계획:2 ,해체진행중:10 , 총:12,아르메니아 해체진행중:1 총:1

  • 캐나다해체계획:3 ,해체진행중:3, 총:6,벨기에 해체진행중:1 총:1

  • 러시아해체계획:2 ,해체진행중:4 ,총:6,카자흐스탄 해체계획:1 총:1

  • 스웨덴해체계획:2 ,총:3, 총:5 , 한국 해체진행중:1 총:1

  • 불가리아해체계획:4 , 총:4, 네덜란드해체계획:1 총:1

  • 이탈리아해체계획:4 ,총:4,스위스해체계획:1 총:1

  • 미국 : 총35
  • 영국 : 총30
  • 독일 : 총28
  • 일본 : 총18
  • 프랑스 : 총12
  • 캐나다 : 총6
  • 러시아 : 총6
  • 스웨덴 : 총5
  • 불가리아 : 총4
  • 이탈리아 : 총4
  • 우크라이나 : 총4
  • 슬로바키아 : 총3
  • 스페인 : 총3
  • 리투아니아 : 총2
  • 아르메니아 : 총1
  • 벨기에 : 총1
  • 카자흐스탄 : 총1
  • 한국 : 총1
  • 네델란드 : 총1
  • 스위스 : 총1
  • 해체계획
  • 해체진행중
  • 해체완료

주요 내용

원전해체를 원전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로 육성함에 따라, 2035년까지 세계 원전해체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하고 세계 5위권 이내로 진입하는 것을 비전과 목표로 4대 과제를 담고 있습니다.

  • 초기시장 창출 및 인프라 구축
    • - 본격 원전해체 시작 전인 ’22년까지 해체물량 조기발주, 상용화 R&D 등 민.관 합동으로 대규모 선제 투자 추진
    • - 원전해체 사업 세분화(폐기물 처리시설 구축, 해체 공사용 장비 구매, 해체 계획서작성 등) 시행 가능한 것부터 조기발주 착수
    • -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하고 등 관계부처 및 관련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기술 고도화 및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
  • 원전해체 전문 강소기업 육성
    • - 원전기업이 해체분야로 사업을 전환하여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생태계기반, 인력, 금융 등 종합지원 추진
    • - 지역과 협력하여 인근 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기업집적 및 생태계 활성화를 추진
    • - 기존의 원전인력을 해체 수요에 맞게 단계적 전환을 유도하는 등 전문인력 양성
  • 단계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 - 해체실적(Track-record)이 중요시되는 해체시장 특성상, 고리 1호기 실적을 토대로 3단계에 걸쳐 해외진출 추진
      • ①해외 해체원전 단위사업 수주(’20년대 중반) ②원전 운영 경험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3국에 선진국과 공동진출(‘20년대 후반) ③제3국 단독진출(’30년대 이후) 3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
  • 제도기반 구축 및 대국민 정보공개 확대
    • - 안전한 해체관리를 위해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폐기물 등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및 관련 정보공개 확대로 대국민 이해도와 신뢰도 제고
    • - 전문기업 확인제도 운영 등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적 근거를 신설하고, 안전기준 명확화
    • - 해체 세부기준 조기 마련 추진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