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

화력

전 세계적으로 각국 발전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화력발전은 우리나라에서도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기저발전을 담당해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발표되는 에너지 관련 정책들을 보면, 석탄화력은 온실가스 감축을 이유로 전체 발전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여기에 더해 미세먼지 문제까지 심각해지면서 석탄화력은 점차 가동중지를 앞당기거나 온실가스를 덜 발생시키는 가스화력으로 대체하는 등 그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 또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을 제한하는 기준도 대폭 강화됐다.

화력 (2021년 기준)   (출처 : 한국전력)

석탄

발전비중 : 34.3%
발전량 : 197,600GWh

액화천연가스(LNG)

발전비중 : 29.2%
발전량 : 168,262GWh

석탄화력은 이미 높은 수준의 발전기술이 개발되어 신뢰성이 높고, 전력 수요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발전하는 데 비교적 지리적 제약이 크지 않아 어디서든 연료만 공급되면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에너지 인프라가 부족한 데 비해 경제는 급성장해야 하는 개발도상국에는 매우 요긴한 발전원이다. 그러나 화력발전이 미래에도 주요 에너지원 중 하나로 남아있으려면 온실가스와 대기오염이라는 단점을 해결해야 한다. LNG는 1kwh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549kg으로, 석탄 991kg, 석유782kg에 비하면 낮은 편이다. 또, 셰일가스 개발에 힘입어 채굴 가능한 LNG의 양이 대폭 늘어나서 공급량이 증가한 덕분에 LNG의 단점으로 꼽히는 가격변동폭이 낮아졌다. 또한 세계적으로 볼 때 천연가스 생산량은 석탄 대비 약 2.5배로 중장기적인 가격안정성을 확보했다.

전기집진기의 원리

이 밖에도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매연 없는 화력발전’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기도 했다. 화력발전 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대부분 작은 입자 형태로 배출되어 탄소를 중심으로 한 분진이나 대기중에서 다른 원소와 반응해 2차 오염물질을 생성하는 화합물이 대표적인데, 이들은 크기가 매우 작아 걸러내기가 어렵지만 강한 전극에 통과시키면 전기적 성질을 띠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 전기장에 통과시켜서 마치 자석으로 철가루를 골라내듯 정전기적 성질을 지닌 오염물질만 모아주는 청정화 장비가 전기집진기다. 전기집진기는 석탄보일러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강한 전극에 통과시켜 전기적 성질을 띤 이온으로 만들고, 이를 집진전극에서 흡착해 깨끗한 공기만 내보낸다.

이산화탄소 포집 원리

또한, 이산화탄소를 굴뚝으로 배출되기 전에 액체 또는 고체 상태로 만들어 저장하는 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이산화탄소포집 및 저장)기술이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를 다른 배출가스와 분리해서 여과한 후, 지층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화석연료와 함께 지각 속에 잠들어 있던 탄소를 대기 중에 방출되기 전에 붙잡아 다시 지층 속으로 돌려보내는 방법이다 이 밖에도 석탄가스화복합발전(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은 고온·고압 상태에서 석탄을 기체화하여 합성가스를 만들고 이를 연료로 가스터빈을 돌리는 시스템이다. IGCC기술은 기존 석탄화력에 비해 발전 효율이 높고 유해물질 배출량이 적다.

화력발전의 원리

탄소중립연료 이퓨얼(e-fuel)의 현재와 미래

external_image


전 세계가 탄소중립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자동차와 선박, 비행기 등 수송 부문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중인데요. 전기차와 수소차 개발은 물론, 바이오 연료와 암모니아 같이 탄소 발생이 현저히 낮은 탄소중립 연료 개발도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적 사항입니다. 오늘은 탄소중립 연료 중 이퓨얼(e-fuel)에 대해 집중 탐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그린 트랜스포메이션(Green Transformation) :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화, 자원의 효율적 사용 등 기존에 없던 기술을 개발하고 도입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면서 동시에 산업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

여러분, 2035년부터 유럽에서는 내연기관의 신차를 구매할 수 없다는 것 알고 계시나요? 물론, 기존에 운행하던 내연기관 차를 모두 거리에서 퇴출시킬 수는 없겠지만 신차는 전기차 혹은 수소차만을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하이브리드차에 대해서는 국가에 따라 정책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예외가 있습니다. 오늘의 주인공인 이퓨얼(e-fuel) 연료 방식의 차량은 내연기관 차량인데도 불구하고 구매가 가능합니다. EU가 이퓨얼을 예외로 인정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서두에 말씀드렸다시피 탄소중립 연료이기 때문인데요. 친환경 연료로 주목 받고 있는 이퓨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external_image


탄소 순배출 0인 이퓨얼(e-fuel)의 원리


이퓨얼(E-fuel)은 ‘Electricity-based Fuel’의 약자로 ‘전기를 이용해 만드는 연료’라는 뜻입니다. 물을 전기 분해해 얻은 수소에 이산화탄소 등을 합성해서 만드는 액체 연료가 바로 이퓨얼입니다. 여기서 잠깐! 이퓨얼과 일반적인 내연 연료의 제조 공정을 한번 비교해볼까요?

석탄, 바이오매스*, 천연가스 등 합성연료는 가스화와 개질* 과정을 거쳐 합성가스를 추출해냅니다. 이어 F-T공정*과 정제, 증류 과정을 거쳐 메탄올, 휘발유, 경유 등 다양한 연료 완성품을 만들어냅니다. 이퓨얼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한 그린수소와 대기 중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결합시킨 후 합성연료와 똑같은 제조 공정을 거치는데요. 결과물은? 합성연료와 같습니다. 굳이 새로운 이름을 붙이자면 생산과정에서 탄소 배출 없이 만들어진 ‘e가솔린’, ‘e디젤’, ‘e항공유’ 등이 되겠지요.

*바이오매스 : 에너지 이용의 대상이 되는 생물체를 총칭하는 말. 살아 있는 동물·식물·미생물의 유기물량을 의미하지만, 산업계에서는 유기계 폐기물도 바이오매스에 포함한다. 주요 자원으로는 포플러·버드나무·아카시아 등의 나무, 사탕수수·고구마·강냉이 등의 초본식물, 그리고 수생식물·해조류·조류(藻類)·광합성세균 등이 있다.

*개질 : 열이나 촉매의 작용에 의하여 탄화수소의 구조를 변화시켜 가솔린의 품질을 높이는 조작. 석유 정제 공정의 하나로, 옥탄값이 낮은 가솔린의 내폭성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F-T공정 :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를 일정 압력에서 반응시켜 탄화수소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



external_image

▲합성연료 이퓨얼의 원리(출처:이퓨얼 연구보고서 by e-Fuel 연구회)



이퓨얼이 탄소중립 연료인 이유는 탄소 포집(CCU, Carbon Capture Utilization) 기술을 활용해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때문에 연소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되기는 하지만 사실상 탄소 순배출이 ‘0’이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전 주기의 탄소 배출량을 보았을 때 탄소배출이 제로에 가까워진다는 점에서 탄소중립 연료로 불리는 것입니다.



external_image



이퓨얼(e-fuel)의 강점 : 수송에 적합한 탄소중립 연료


기본적으로 이퓨얼이 액체 상태의 에너지원이어서 갖는 강점이 있습니다. 바로 보관과 수송에 용이하다는 점입니다. 기체 상태의 수소에 대비하여 이퓨얼은 유통에 용이하여 넓은 범위에 연료 공급책으로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항공, 선박 등 수송 부문 전반에 적용 가능한 것이죠. 특히 석유연료 운송∙보관 시설 등 기존 인프라를 고스란히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관련 산업계에 경제적 이점으로 다가옵니다.

배터리와 비교하면 어떨까요. 혹자는 선박을 배터리로 운항하려면 “컨테이너의 반을 배터리로 채워야 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배터리는 내연 연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낮아 수송 부문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부적합하다는 뜻입니다.

이퓨얼은 또한 완전 연소 비율이 높아 기존 경유 자동차 대비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배출량이 20~40%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독일 NPM(국가미래모빌리티플랫폼)에 따르면 이퓨얼 사용 트럭의 배출가스는 디젤 트럭의 20~40% 수준이며, 석유원(한국석유관리원)에 따르면 이퓨얼과 물성이 유사한 CtL*을 경유와 30% 정도 혼합했을 시 미세먼지 배출량에 57% 저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CtL(Coal to Liquid : 석탄액화석유) : 석탄을 액화, 석유로 만드는 것으로 액화 석탄이라고도 한다. 석탄이 들어 있는 거대한 통에 산소와 증기를 집어넣고 섭씨 영상 500도의 고온과 고압에서 합성가스를 얻어 이를 액화시킨뒤 정제해 만든 휘발유와 경유를 말한다.



external_image


탄소 순배출이 0이고 기존의 정유산업 인프라를 고스란히 활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이퓨얼이 “꿈의 연료”라 불리기도 하는데요. 이퓨얼이 상용화되기에 아직은 산재한 장벽들이 남아있습니다. 복잡한 제조 공정으로 인한 높은 단가 그리고 수소나 전기보다 낮은 에너지 효율 등입니다.


external_image


하지만 분명한 것은 합성연료의 내연기관차는 점차 쇠락의 길로 가는 중이며, 이에 강력한 대안이 바로 이퓨얼이라는 점입니다. 유럽이나 일본보다는 다소 늦었지만 이퓨얼 연구의 필요성에 공감한 우리나라도 2022년부터 ‘e-Fuel 연구회’를 조성하여 보고서를 만드는 등 관련 연구가 진행중인데요. 현대자동차, 한국조선해양, 현대오일뱅크 등 유수 업체도 이퓨얼 연료 및 선박 개발에 착수한 바 있습니다. 배터리와 수소만으로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난망하다는 진단이 나오는 가운데, 이퓨얼의 발전 속도와 잠재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참고자료 ::

전기신문

네이버지식백과

이퓨얼 연구보고서 by e-Fuel 연구회 (2022.1)

GS칼텍스

한겨레신문


external_image

출처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블로그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트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