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

스웨덴, 재생에너지 중심·원전 활용하는 에너지 시스템으로 탈석유화 - 탄소중립, 세계에서 배운다 ③-下 -

스웨덴, 재생에너지 중심·원전 활용하는 에너지 시스템으로 탈석유화​ _ 탄소중립, 세계에서 배운다 ③-下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은 이제 에너지 산업의 변화를 넘어 사회‧경제 전반의 구조적 혁신으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탄소 순 배출 ‘제로(0)’ 달성이라는 거대한 도전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긴밀하게 작용하고 있는 세계 각국의 ‘에너지-환경-산업’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 ​

 

 

▶ 탄소중립, 세계에서 배운다 ③-上 스웨덴, 세계 최초로 탈석유화를 선언

 

‘2040년 100% 재생에너지 발전’을 목표로 하는 스웨덴의 에너지믹스는 2017년 기준 수력 40%, 원자력 39%, 풍력 11%, 열병합 10%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재생에너지 평균 비중이 약 18% 정도였던 당시 유럽연합(EU) 회원국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편입니다. 그럼에도 급격한 화석연료 감소는 사회적 혼란으로 이어지지 않았는데요, 이유는 지속적인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신기술 개발과 원자력 에너지 관련 인프라에 있습니다. 스웨덴은 재생에너지의 공급 안전성을 뒷받침하고 경제성을 보완하기 위해 에너지 시스템을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개편하는 동시에 기존의 6개 원전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풍력발전 프로젝트입니다. 스웨덴 풍력 발전의 에너지 점유율은 2020년 기준, 수력 45%, 원자력 30%에 이은 세 번째로 약 17% 정도입니다. 2017년 11%에 비해 상당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현재도 해상과 육상에 대규모 풍력단지가 건설되고 있습니다. 스웨덴 풍력 발전은 바람이 많이 부는 서쪽 해안을 따라 길게 이어져 있습니다. 해상풍력발전의 경우는 발전기 크기를 키우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기술력을 요구합니다. 이에 스웨덴 정부는 적극적인 투자와 해외 기술력 도입으로 이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 World Forum Offshore Wind(Global Offshore Wind Report 2020)​

 

Ⓒ 스웨덴 에너지청(2021년 3월 기준)​

지속성장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해 풍력발전에 대한 투자는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글로벌 해상풍력발전 성장 현황(신규 설비용량(단위:MW), 좌)과 스웨덴의 연도별 풍력발전 전력 생산량 현황((단위:TWh), 우)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온 철강 산업도 새롭게 변하고 있습니다. 철강산업은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부문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실제 스웨덴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 중 철강 생산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무려 10%에 달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웨덴은 철강산업의 탈탄소를 위한 하이브리트(HYBRIT)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2016년 스웨덴의 철강업체(SSAB), 스웨덴 철광석 생산기업(LKAB)과 독일의 에너지기업(Vattenfall)이 합작한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무탄소 제강 기술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수소환원제철 기술로 불리는 하이브리트 기술 공정은 철강석에서 철을 생산할 때 열원으로 사용하는 고탄소함유 연료인 코크스와 점결탄을 전기와 수소로 대체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전통적인 철강 공법보다 20~30% 이상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이산화탄소 배출비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재생에너지의 발전원가의 하락세를 고려하면 충분한 시장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이브리트 기술이 적용되면 전 세계 철강 생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hybritdevelopment

 

 

스웨덴 에너지 정책의 또 다른 핵심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에 있습니다. 스웨덴 정부는 탈화석연료(Fossil Free Sweden) 기관을 따로 두어 기업과 지자체, NGO 등이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각 산업별로 화석 연료 사용은 줄이면서 산업 경쟁력은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산업별 로드맵을 통해 단계적으로 실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축 분야의 경우 탄소배출 감소를 위해서는 친환경 시멘트 개발이 필수적인데요, 따라서 건축 분야의 로드맵에는 친환경 시멘트 상용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담겨 있습니다. 

 

‘죽은 행성에서는 일자리를 만들 수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체하는 것이 결국은 미래 기술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된다는 뜻인데요, 장기적인 투자를 동반한 스웨덴의 노력이 성공하길 기대해 봅니다. 

 

 

* 연관콘텐츠

 

​ 탄소중립, 세계에서 배운다① 세계 최초 실용화, 스위스의 그린수소 밸류체인

​​ 탄소중립, 세계에서 배운다② 청정의 땅 뉴질랜드, 그린수소 생산국을 꿈꾼다

 

 

* 참고자료

 

스웨덴의 100%재생에너지 발전 달성을 위한 솔루션_Innovative solutions for 100% renewable power in Sweden_IRENA

https://www.irena.org/publications/2020/Jan/Innovative-solutions-for-100-percent-renewable-power-in-Sweden

 

석유 의존도가 가장 높은 나라에서, 친환경 대표 국가로 , 스웨덴의 탄소중립_KTV국민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E7JrPoI2Q6o

 

RE:Waste 스웨덴이 자원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_스웨덴대외홍보처

https://issuu.com/swedeninkr/docs/rewaste_folder_kor_v5_final

 

스웨덴 철강산업 정보_코트라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200&CONTENTS_NO=1&bbsGbn=403&bbsSn=403&pNttSn=178247

 

스웨덴 풍력발전 현황 및 전망_코트라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187671

 

최근 주요국의 탄소세 관련 현황 및 시사점_세게에너지시장인사이트(제13-44호)

http://www.keei.re.kr/web_keei/pendingissue.nsf/0/99611FFF9B1CCA3049257C3A0030D359/$file/11_%EC%B5%9C%EA%B7%BC_%EC%A3%BC%EC%9A%94%EA%B5%AD_%ED%83%84%EC%86%8C%EC%84%B8_%EA%B4%80%EB%A0%A8%ED%98%84%ED%99%A9_%EC%8B%9C%EC%82%AC%EC%A0%90.pdf 

http://www.keei.re.kr/web_keei/pendingissue.nsf/0/99611FFF9B1CCA3049257C3A0030D359/$file/11_%EC%B5%9C%EA%B7%BC_%EC%A3%BC%EC%9A%94%EA%B5%AD_%ED%83%84%EC%86%8C%EC%84%B8_%EA%B4%80%EB%A0%A8%ED%98%84%ED%99%A9_%EC%8B%9C%EC%82%AC%EC%A0%90.pdf https://www.hybritdevelopment.se/

 

화석연료 없는 복지국가를 꿈꾸는 스웨덴_국제노동브리프 International Labor Trends

https://www.kli.re.kr/kli/downloadPodFile.do?pdicalOrginlDwldNo=4386#:~:text=%ED%99%94%EC%84%9D%EC%97%B0%EB%A3%8C%20%EC%97%86%EB%8A%94%20%EC%8A%A4%EC%9B%A8%EB%8D%B4(Fossil%20Free%20Sweden)%EC%9D%80%20%EC%82%B0%EC%97%85%EB%93%A4%EC%9D%98,%EC%97%AD%ED%95%A0%EC%9D%84%20%EC%88%98%ED%96%89%ED%95%98%EA%B3%A0%20%EC%9E%88%EB%8B%A4

 

출처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블로그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트위터
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