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

재생에너지

재생에너지는 태양과 바람 물, 등 자연의 힘을 전기에너지로 만들어 사용하는 발전 방식이다. 탄소 배출을 하지 않으며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을 발생하지 않는다.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면서 재생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다. 발전단가가 점차 낮아지고 관련 투자가 증가하면서 글로벌 전력시장의 전체 발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재생에너지 (2021년 기준)   (출처 : 한국전력)

발전비중 : 7.5%
발전량 : 43.085GWh

재생에너지는 다양한 발전방식이 있다.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태양에너지는 열을 이용하는 태양열 에너지와 빛을 이용하는 태양광 발전이 있다. 태양열 발전은 거울을 이용해 한 점으로 태양빛을 모아서 집중된 열로 물을 끓인 후, 여기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터빈을 돌려서 발전한다. 여러 개의 거울을 IT 기술로 제어해 태양빛을 모으기 때문에 넓은 부지와 햇빛이 강한 사막 지역에 많이 건설된다.

태양광발전은 빛의 입자가 특정한 물질에 닿으면 전자가 튀어나오는 ‘광전효과’를 기본원리로 한다. 전자가 튀어나오면서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결합시켜 만든 태양광 셀이 각각 다른 전하를 지니게 되는데 이 차이를 활용해 전류가 흐르게 하는 것이 태양광 발전이다. 태양광발전의 기본 단위인 태양광 셀은 크기가 작아 이를 타일처럼 배열해서 커다란 판으로 만든 것이 태양광패널, 또는 태양광모듈이다. 여러 장의 태양광패널을 직렬로 연결해서 사용하며 생산된 전기를 필요한 전압이나 주파수로 변환하는 인버터, 전체 전력시스템을 조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태양광발전의 장점은 별도의 연료비가 필요 없고, 태양광 이외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에 해로운 오염물질이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반면 날씨나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은 태양광발전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태양열발전
풍력발전

풍력발전은 바람으로 돌아가는 회전날개가 직접 터빈의 역할을 한다 간단한 구조로 자연의 힘을 이용할 수 있기에 재생에너지 중 가장 먼저 산업적 규모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풍력발전기는 회전날개, 축, 발전기, 전선 외에도 발전기가 일정한 회전수로 돌아가도록 도와주는 기어 박스로 구성된다. 또 바람이 너무 강하게 불면 제동장치가 작동해 과열을 막아준다 풍력은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오염물질이나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저히 적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나 소 음과 부피가 크다는 과제가 있다. 해상풍력발전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 나이다. 영국 등 세계적으로 해상풍력발전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해양에너지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는데 바닷물 이용방식에 따라 조력에너지, 조류에너지, 파력에너지, 해수온도차 에너지로 분류할 수 있다. 조력에너지는 밀물과 썰물의 차가 큰 연안에 바닷물을 막는 댐과 수문을 설치해 수위 차이로 터빈을 회전시키는 방식이다. 연료가 불필요하고 발전량을 정확하게 예측 가능하나 바닷물의 염분에 발전설비가 노출되어 유지관리비가 많이 든다. 조류발전은 밀물과 썰물로 인한 바닷물의 흐름을 직접 이용하며 풍력과 유사한 방식으로 전기를 만든다. 비교적 안정적이나 대량의 조류가 충분한 빠르기로 흐르는 곳이 많지 않다. 파력발전은 파도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를 이용해 터빈을 돌리는 방식이다. 설치 장소나 발전기의 유형 제약이 덜해서 소규모 발전도 가능하나 출력 변동이 심한 편이며 배의 운항이나 어업에 방해가 되므로 대규모 조성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해수온도차 발전은 해수 표면의 온도와 심층의 온도 차이를 이용해 냉매를 증기로 만들어 터빈을 돌린다. 터빈을 돌리고 난 증기는 찬 바닷물로 다시 냉각, 액화하여 순환 사용이 가능하다.

태양열발전
전통적인 발전 방식으로 물과 지열을 이용하는 에너지가 있다. 수력발전은 물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전환 현상을 이용한다. 높은 곳에 있는 물을 아래로 떨어뜨려 터빈을 돌리는 발전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전력망을 구축하는 국가가 가장 먼저 고려하는 발전 방식이다. 또한 전력을 생산하는 시간이 5분 이내로 짧아서 전력 수요량 변화에 가장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수력발전소가 하루 4~5시간 정도 수요량이 높을 때만 운전하는 ‘첨두운전’을 하고 있다. 지열발전은 주로 화산활동으로 발생하는 지열을 이용하는 발전 방식으로 난방과 온수 급탕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이밖에도 옥수수, 사탕수수와 같은 전분작물에서 추출한 바이오 에탄올과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지방을 원료로 만든 바이오디젤을 직접 태우거나 가스로 만들어 발전하는 바이오매스 발전이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지켜주는 통합관제시스템!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지켜주는 통합관제시스템

변화무쌍한 재생에너지 재생에너지는 바람이나 태양빛과 같은 자연의 힘을 이용하기에 날씨와 기후의 영향으로 정확한 예측이 어렵습니다

전력망 전체가 불안정해지고 위험할 수도 발전량 예측이 어려운 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서 전국적으로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대규모 정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력운영 전력망에 참여하는 모든 발전사업자에게는 안정적인 전력 운영을 위한 책임이 부여되며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여러분의 참여 또한 필수적입니다.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발전사업자 여러분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안정적이고 유연한 전력망을 구축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소에 정보제공장치 설치와 인버터 성능개선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참여 장점1 출력제어 발생 시 유리한 순서 선정 비상시 출력제어 대상 순서정립 시 유리한 위치로 선정될 수 있어 계획적이며 안정적인 발전기 운영이 가능해집니다.

사업참여 장점2 지속운전이 가능한 발전기 인버터 성능개선이 이루어진 발전기는 전력망이 불안정할 시에도 탈락되지 않아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해집니다.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 이것이 궁금한가요 사업참여 방법은 권역별 한전 지역본부에서 인버터 성능개선이 가능한 발전소를 대상으로 정부지원사업 안내 유선, 서면시 사업참여 동의의사를 확인해주시면 즉시 참여가 가능합니다. 직접 한전 지역본부에 전화문의하여 사업대상 확인 가능.

인버터 성능개선 부분 고장시 누가 책임지나요 인버터 성능 개선은 인버터 자체를 교체하지 않고 펌웨어 업그레이드나 하드웨어 일부 교체만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누가 고장 책임을 질 지 걱정할 수도 있는데요, 각 인버터 제조사가 성능 개선 작업에 참여하여 1년간 보증 책임을 부담합니다. 작업 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통합관제시스템 참여는 간단히 끝납니다. 정보제공장치를 설치하는 데 약 2시간, 인버터 업그레이드하는 데 약 1시간 소요됩니다.  인버터 하드웨어를 일부 교체할 경우 1시간 더 늘어납니다. 넉넉하게 정보제공장치 하루, 인버터 하루 작업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작업 중 발전을 하지 못할텐데 어쩌죠 작업 과정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력망에 공급하는 핵심장치인 인버터를 정지해야 하므로 발전은 중단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반드시 사전에 협의하여 발전 피크 시간대를 피하여 작업할 예정입니다.

재생에너지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만큼 관제시스템과의 통합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 구축은 소규모 발전사업자와 전력망 운영사, 소비자가 함께 하기 위한 필수적인 준비입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통합관제시스템 기반구축 사업에 발전사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 부탁드립니다.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지켜주는

합관제시스템!

 

 

"변화무쌍한 재생에너지"

 

재생에너지는 바람이나 태양빛과 같은 자연의 힘을 이용하기에

날씨와 기후의 영향으로 정확한 예측이 어렵습니다.

 

 

전력망 전체가

불안정해지고 위험할 수도!

 

발전량 예측이 어려운 재생에너지가 확대되면서

전국적으로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대규모 정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력운

 

전력망에 참여하는 모든 발전사업자에게는

안정적인 전력 운영을 위한 책임이 부여되며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여러분의 참여 또한 필수적입니다.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발전사업자 여러분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안정적이고 유연한 전력망을 구축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소에 '정보제공장치 설치'와

'인버터 성능개선'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참여 장점1]


출력제어 발생 시 유리한 순서 선정

 

비상시 출력제어 대상 순서정립 시 유리한 위치로 선정될 수 있어

계획적이며 안정적인 발전기 운영이 가능해집니다.

 

 

[사업참여 장점2]


지속운전이 가능한 발전기

 

인버터 성능개선이 이루어진 발전기는

전력망이 불안정할 시에도 탈락되지 않아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해집니다.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

이것이 궁금한가요?

 

Q. 사업참여 방법은?

 

A. 권역별 한전 지역본부에서 인버터 성능개선이 가능한 발전소를 대상으로

정부지원사업 안내(유선, 서면)시 사업참여

동의의사를 확인해주시면 즉시 참여가 가능합니다.

* 직접 한전 지역본부에 전화문의하여 사업대상 확인 가능.

 

Q. 발전사업자 부담 비용은?

 

A. '정보제공장치 설치'와 '인버터 성능개선' 사업 비용은

전액 정부지원으로 이루어지며,

사업자 부담 비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Q. 인버터 성능개선 부분 고장시 누가 책임지나요?

 

A2. 인버터 성능 개선은 인버터 자체를 교체하지 않고

펌웨어 업그레이드나 하드웨어 일부 교체만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누가 고장 책임을 질 지 걱정할 수도 있는데요,

각 인버터 제조사가 성능 개선 작업에 참여하여 1년간 보증 책임을 부담합니다.

 

Q. 작업 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A3. 통합관제시스템 참여는 간단히 끝납니다.

정보제공장치를 설치하는 데 약 2시간, 인버터 업그레이드하는 데 약 1시간 소요됩니다. 

인버터 하드웨어를 일부 교체할 경우 1시간 더 늘어납니다.

넉넉하게 정보제공장치 하루, 인버터 하루 작업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Q. 작업 중 발전을 하지 못할텐데 어쩌죠?

 

A4. 작업 과정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력망에 공급하는 핵심장치인 인버터를 정지해야

하므로 발전은 중단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반드시 사전에 협의하여 발전 피크 시간대를 피하여 작업할 예정입니다.

 

 

재생에너지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만큼

관제시스템과의 통합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 구축은

소규모 발전사업자와 전력망 운영사,

소비자가 함께 하기 위한 필수적인 준비입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통합관제시스템 기반구축 사업

발전사업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 부탁드립니다.

출처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블로그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트위터
Document

정책

재생에너지3020 이행계획

국내 에너지정책은 2008년부터 ‘재생에너지 중심의 청정에너지 체제로 전환’을 추진해왔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시행 방안과 달성 시점을 확정하고자 2017년 10월 ‘에너지전환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20%로 높이겠다는 큰 윤곽을 제시한 후 2017년 12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발표해 계획을 구체화했습니다.

목표

  •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누적 설비용량을 64GW까지 보급
  • 신규 설비용량의 95% 이상을 태양광ㆍ풍력 등 청정에너지로 공급

주요국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단위 : %. 2015년 기준)

  • 덴마크 덴마크
    31.1
  • 스페인 스페인
    14.6
  • 독일 독일
    13.8
  • 프랑스 프랑스
    9.2
  • 미국 미국
    7.0>
  • 일본 일본
    5.7
  • 한국 한국
    2.4

자료 : 국제에너지기구 (IEA)

주요 이행 계획

  1. 1 국민참여 확대
    • 도시형 태양광 보급 사업을 확대하고, 생산한 전력 중 소비하고 남은 잉여 전력은 현금 정산을 하는 등 상계거래제도를 개선
    • 제로 에너지 건축물 인증 의무화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기반 건축물 확산
    • 협동조합이 참여한 사업, 시민참여 펀드가 투자된 사업 등에 REC 가중치 추가 부여 등 인센티브를 제공
    • 농업진행구역 내 염해 간척지, 농업진흥지역 이외 농지, 농업용 저수지 등에 태양광 설치를 활성화하여
      30년까지 10GW 규모의 태양광을 보급하는 등 농촌 태양광 확대
  2. 2 지자체 주도의 계획입지 도입
    • 수용성, 환경성을 사전에 확보하고 부지를 계획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계획입지 제도 도입을 추진
    • 광역지자체 주도로 발굴한 부지는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입지 적정성 검토 후 재생에너지 발전기구로 지정하는 등 사업자의 원활한 추진 지원
  3. 3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 수용성 및 환경성을 고려하여 단계적 추진
      • 1단계2018~2022년

        민간과 공공기관이 제안한 프로젝트 가운데
        5GW 규모의 프로젝트를 집중 추진

      • 2단계2023~2030년

        대형발전사의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 비율을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여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유도

  4. 4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보급여건 개선
    • 농업진흥구역 내 규제 완화, 공유재산 제도 개선 등 입지규제 및 사업 수익성을 저해하는 각종 제도 개선 추진
    • 지역별 보급계획 수립, 전담조직 보강 등 지자체 역량 강화 지원
    •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재생에너지 정책협의회 상시 운영
  5. 5 환경을 고려한 재생에너지 확대
    • 폐기물·우드펠릿 등에 대한 REC 가중치를 축소하고 국제기준 및 국내여건을 감안하여 비재생 폐기물을 재생에너지에서 제외 추진
    • 태양광 폐모듈 재활용센터 건립 및 관리체계 구축, 풍력 대형블레이드 등에 대한 폐기지침 개발 등 재생에너지 폐기물 처리기반을 구축

주요국가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중국 중국
    •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 조정 전망, FIT 기준가격 인하와 RPS 비중 확대를 통해 경제성 확보와 보급목표 달성 추진
      • - 재생에너지 13·5 계획(’16년)에서 ’20년 15%, ’30년 20%의 달성 목표 비중을 발표했으나,
        ’18년계획 수정안 초안에서 ’30년의 달성 목표를 35%로 상향한 것으로 확인되어 공식 목표가 조만간 조정될 전망
  • 일본 일본
    • 보급 단가를 낮춰 경제성을 확보하고, 해상풍력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
    • FIT 기준가격 인하 및 경매를 통해 태양광 시장의 가격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매년 FIT 기준가격을 고시하여 점차 FIT 기준가격을 인하하는 추세
    • ’18년 3월 『해양재생에너지발전설비 정비 관련 해역 이용 촉진 법률안』을 각의 결정하며, 해상풍력 보급 촉진 정책 도입
  • 미국 미국
    • 주정부를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확대정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각 지방정부에서는 재생에너지 목표 발전 비율을 상향
      • - 코네티컷 주 : ’30년 48%
      • - 뉴저지 주 : ’30년 50%
      • - 캘리포니아 주 : ’45년 100%
      • - 워싱턴 D.C. : ’40년 100%
  • EU EU
    • ’30년까지 최종에너지 소비 중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27%에서 32%로 확대하는 재생에너지지침의 목표를 ’18년 6월에 상향 확정
    •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여 정기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최대 2년, 기존설비 현대화(Repowering)는 1년,
      10.8kW 이하의 소규모 프로젝트는 간단한 통지절차로 가능하도록 하여 보급 확대 전망

  • 주요국들은 재생에너지의 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 중이며, 달성 목표의 상향을 검토하는 등의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
  • 우리나라도 이러한 세계적 트렌드에 발맞춰, 재생에너지 3020이행계획을 원활히 추진하여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

재생에너지 3020이행계획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