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

[언론인 칼럼] 탄소중립 통해 '저탄소 시대' 선도자로

탄소중립 통해 ‘저탄소시대 선도자’로 
 
이재호 내일신문 기자
 
 
2022년 2월 이후 지금까지 계속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세계 에너지시장에 두 가지 큰 변화를 가져왔다. 첫째, 석유 가스 유연탄 등 에너지가격이 급등하면서 국가별로 에너지안보 중요성을 각인시켰다. 세계열강이 러시아 제재를 주장하지만 대다수 국가들이 러시아산 에너지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이 입증된 탓이다. 안정적인 에너지원 확보 없이는 국가생존권을 장담할 수 없으며, 각자도생의 길도 마다하지 않는다. 미국과 사우디의 전통적인 ‘석유동맹’ 마저 균열을 가져왔다.  
 
둘째, 탄소중립 실현에 대한 속도조절론이다. 유럽연합(EU)은 천연가스의 40%, 원유의 25% 이상을 러시아에 의존해왔다. 때문에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제한 이후 석탄발전을 재가동하기 시작했고, 독일 등 탈원전 선언 국가들도 원자력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11월 7일부터 18일(현지시간)까지 이집트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27차 당사국총회(COP 27)를 주목하는 이유도 이러한 분위기와 맥을 같이 한다. COP 27에서는 탄소중립 실현방안에 대한 갑론을박이 어느 때보다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은 당장 올 겨울철 가스대란을 막기 위해 화석연료 사용을 합리화할 가능성이 크다. 그동안 ‘후퇴 없는 전진의 법칙’을 유지해온 탄소중립 원칙의 지속성이 관전 포인트다.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각국 대표들이 의자에 앉아 발언을 하고 있다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각국 대표들이 의자에 앉아 발언을 하고 있다. ©COP26
 
또 COP 27에서는 기후적응 논의가 한층 탄력받을 전망이다. 기후변화 적응(Adaptation)이란 기후상태(Climate Condition)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생태계나 사회경제시스템이 취하는 모든 행동을 말한다. 기후적응 문제는 아프리카 아시아 등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는 기후위기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 등을 확대하는 데 선진국과 개도국간 의견을 도출해왔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 적응기금 문제는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 넘어야할 산이다. 기후변화로 초래된 기상변화나 해수면 상승 등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는 주요 유발주체였던 선진국과 그로 인해 피해 입은 개도국이 대립하는 문제로,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2021년 11월 영국에서 열린 COP26에서 미국과 EU 등 16개 국가·지역 정부는 기후변화 적응기금에 3억5600만달러(약 5133억 원)를 공여하기로 약속했지만 2억3000만달러(3316억 원)는 아직 집행되지 않았다. 
 
2022년 유럽의 여름 기온
‘사상 최고 기온’을 연이어 경신할만큼 위협적이었던 유럽의 폭염, 2022년 유럽의 
여름 기온  ©weatheronline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탄소중립은 가기 싫어도 가야할 길이고, 또 가게 될 것이다. 변화와 혁신에는 언제나 굴곡이 있고, 저항이 있기 마련이다. 특히 올 여름 세계 곳곳에서는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기후위기를 목격했다. 한국은 수도권 일부에서 하루 강수량이 380mm에 달했으며, 미국과 유럽, 아시아 곳곳에서 폭염, 가뭄, 폭우에 시달렸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결과라는 이유 외에는 설명할 길이 없다. 
 
탄소중립은 우리나라 입장에서 환경적인 측면 외에도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93%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눈부신 경제성장을 일궈왔다. 그런데 지금은 지난 반세기 동안의 중화학공업 주도 발전에서 벗어나 신성장동력을 찾아야 하는 시간 앞에 서있다. 즉 에너지 다소비형에서 에너지 고부가가치형 경제로 전환할 기회다. 새로운 산업지형은 우리나라가 ‘고탄소시대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저탄소시대 선도자’(First Mover)로 도약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출처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블로그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트위터
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