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 칼럼] 원전과 공존하는 프랑스

원전과 공존하는 프랑스
 
전자신문 변상근 기자
 
 
지난 6월 프랑스의 원자력발전 산업을 취재하기 위해 파리를 방문했다. 프랑스는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원전 강국이다. 국내 발전량의 약 70~80%를 원전으로 공급한다. 운영 중인 원전대수도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후핵연료를 재처리하면서 원전 효율을 끌어올렸고, 원전 수출과 함께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사업을 산업화하려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프랑스 국영 원자력그룹 아레바가 라하그 지역에 건설한 재처리 시설
사용후핵연료 저장·보관할 때는 부식되지 않도록 물의 온도와 불순물 농도 등을 제어하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사진은 프랑스 국영 원자력그룹 아레바가 라하그 지역에 건설한 재처리 시설. Ⓒ Areva
 
현지 취재할 당시 프랑스 샹파뉴 지역의 작은 마을 ‘노장 쉬르센(Nogent-sur-Seine)’을 방문했다. 이 마을은 파리의 시작점인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약 110km, 자동차로 약 2시간을 운전하면 갈 수 있는 거리에 위치했다. 우리나라로 치면 서울에서 강원도 원주 정도의 거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고풍스러운 성당을 중심으로 오래된 가옥이 즐비한 이 마을은 외지인들로 북적였다. 현지인들에게는 꽤나 유명한 관광지라고 한다.
 
센강 상류를 끼고 있는 노장 쉬르센에서는 ‘NOGENT-1’, ‘NOGENT-2’ 원전을 운영하고 있다. 두 원전은 각각 1987년과 1988년에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센강 상류 물을 냉각수로 활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한강 상류 지역의 물을 냉각수로 활용해 원전을 가동하고 있는 것이다. 통상 수도권과 멀리 떨어진 해안가에 원전이 자리 잡은 우리나라 상황을 고려하면 상당히 낯선 풍경이다.
 
프랑스 ‘노장 쉬르센(Nogent-sur-Seine)’ 원전 전경(22.6.24)
프랑스 ‘노장 쉬르센(Nogent-sur-Seine)’ 원전 전경(22.6.24)
 
최근 프랑스 정부가 노장 쉬르센의 원전 2기 수명 연장을 승인했다. 건설한 지 30년이 넘은 원전임에도 이 지역 주민들은 수명연장을 오히려 반겼다고 한다. 노장 쉬르센은 원전을 건설하면서 협력업체들이 인근에 자리 잡았고, 지역경제가 상당히 살아났다.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원전 유치가 꼭 필요하다는 것이 노장 쉬르센의 입장이다. 청정에너지로 꼽히는 태양광을 소규모로 건설하는 것조차 반대하는 우리나라와는 지역 수용성 면에서 차이가 크다.
 
노장 쉬르센의 원전을 환영하는 분위기는 프랑스 국가 전반의 분위기와 닮았다. 프랑스는 원전을 국가를 먹여 살리는 산업으로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로 치면 반도체나 자동차 산업과 비슷하게 원전 산업을 인식하고 있는 셈이다. 올해 세계적으로 에너지 안보가 주목받으면서 프랑스는 원전 산업을 다시 육성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 2월 2035년까지 원전 14기를 신규로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프랑스의 국영기업이 오라노(Orano)는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신규 원전 건설이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원전산업 부흥을 노리고 있다.
 
물론 프랑스 원전 산업이 녹록치만은 않다. 원전 배수관 부식 문제, 폭염으로 인한 냉각수 부족으로 원전 운영이 중단되는 사태가 올해 잇따라 발생했다. 핀란드 원전 건설 지연으로 인해 손실이 커지고 있고, 원전 수출에서는 신흥 강자인 우리나라와 경쟁에 힘겨워하는 모습이다.
 
그럼에도 프랑스가 여전히 원전 강국으로서 저력을 갖춘 이유는 국가적으로 원전 산업을 대하는 태도다. 원전 확대를 국정과제로 내세운 윤석열 정부도 프랑스의 사례를 눈여겨봐야 한다. 무너진 원전 산업 생태계 복원, 원전 확대로 인한 안정적인 전력믹스 달성, 원전 10기 수출 등 성과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원전 수용성 확보가 기반이 돼야 한다. 우리나라 원전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합리적인 사용후핵연료 처분 방식 제시를 병행하면서, 원전이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한 에너지원이라는 점을 알리는 점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도 원전을 국가의 중추 산업 중 하나라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출처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블로그
  • 페이스북
  • 카카오톡
  • 트위터